강강술래특징1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이야기 3 : 강강술래 정의·역사·특징 1. 강강술래 정의 및 개요강강술래는 여성들이 보름달 아래 손을 잡고 원을 그리며 부르는 노래이자 춤으로, 노래와 춤, 놀이가 유기적으로 어우러진 집단적 민속예능이다. 주로 전라도 지역에서 전승되어 왔으며, 한국의 중요무형문화재 제8호(1966년 지정)로 보호되고 있다. 2009년에는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2. 강강술래 유래와 배경강강술래의 유래에는 두 가지 대표적인 설이 존재한다.1) 추석 명절의 세시풍속 설오곡이 무르익는 추석 무렵, 보름달 아래 마을 여성들이 모여 농사의 수고를 위로하고 공동체의 결속을 다지기 위해 벌이던 놀이로 여겨진다. 명절의 축제성과 흥겨움이 어우러진 여성 중심의 공동체 무용으로, 전통 농경사회 속 집단의 화합과 풍요의 기원을 담고 있다.2) 임진왜란 시기의 .. 2025. 8. 21.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