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무형문화재4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이야기 7 영산재(靈山齋) ②편 - 영산재의 범패 영산재의 범패 – 한국 불교 성악의 정수1. 범패의 개념과 위치범패(梵唄)는 불교 의례에서 경전이나 진언을 음악적으로 읊는 성악 양식으로, 가곡과 판소리와 함께 한국 전통 3대 성악 장르 중 하나로 꼽힌다. 일반적으로 리듬과 화성이 없는 단성 선율로 구성되며, 불교 의식인 '재(齋)'에서 승려들이 의식의 장엄성과 공덕 회향을 위해 부르는 음악이다.고정된 장단 구조없다는 것이 특징인데, 의식의 흐름과 장부의 지휘에 따라 선율이 유기적으로 변화한다. 이는 형식적인 음악의 틀을 벗어난, 의례에 밀착된 즉흥적 성격을 보여준다.특히 범패는 영산재와 같은 대규모 불교 의례에서 핵심적 역할을 하며, 소리(성악), 몸짓(작법무), 그림(괘불), 공간 장엄이 어우러진 종합예술로 기능한다.2. 범패의 구조: 안채비, 겉채.. 2025. 9. 5.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이야기 6 : 아리랑 ①편 – 민족의 노래, 세계의 노래가 되다 - 아리랑에 대한 모든 것을 알아보는 시리즈 1. 아리랑의 정의와 보편성 아리랑은 한국을 대표하는 민요로, ‘아리랑’ 또는 유사한 발음이 포함된 후렴구를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구조의 노래이다. 특정한 정형 가사 없이 자유로운 내용으로 부를 수 있고, 누구나 자신의 이야기를 담아 새롭게 구성할 수 있는 열린 민요라는 점에서 독특한 가치를 지닌다. 선율 또한 단순하고 반복적이어서 외국인도 쉽게 따라 부를 수 있을 정도로 보편성과 접근성이 뛰어나다.2. 민중의 삶에서 비롯된 노래아리랑은 특정 계층이나 제도권 음악 교육과정과 무관하게, 일상 속에서 자연스럽게 불리며 전승되어온(구전) 음악유산이다. 나무하기, 모심기, 논매기, 나물 캐기 등 노동의 순간마다 민중들이 삶의 고단함을 달래며 부른 노래였으며, 혼자서 흥.. 2025. 8. 25.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이야기 5 : 처용무 – 오방색 춤사위에 담긴 궁중 정재와 설화 1. 정의와 개요처용무는 신라 헌강왕 시절의 처용 설화에서 유래한 궁중 정재(呈才)로, 향악에 바탕을 둔 한국 전통 무용이다. 다섯 명의 무용수가 오방색 의상을 입고 처용 가면을 쓰고 추는 춤으로, 단순한 예술을 넘어 벽사진경(辟邪進慶: 액운을 물리치고 복을 기원)의 상징을 지닌다.현재 처용무는 국가무형문화재 제39호(1971)로 지정되었으며, 2009년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2. 유래와 역사 – 처용 설화처용무의 기원은 『삼국유사』에 전하는 다음과 같은 설화에 뿌리를 두고 있다.신라 헌강왕 때, 역신(疫神)이 처용의 집에 들어가 그의 아내와 함께 침상에 있었다. 처용이 그 장면을 목격했음에도 분노하지 않고, 오히려 노래와 춤을 추며 태연하게 대했다. 이에 감동한 역신은 “처용이 사는.. 2025. 8. 22.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이야기 4 : 종묘제례악의 모든 것 🎼 1. 종묘제례악이란?종묘제례악은 조선 왕조의 선왕에게 드리는 유교적 제사인 종묘제례에서 연주되는 음악과 춤, 의례의 총합이다. 음악(樂)과 춤(舞), 제례(禮)가 유기적으로 결합된 복합 예술이며, 유교적 예제(禮制)에 따라 조상의 덕과 무공을 찬양하고 나라의 안녕을 기원하는 의례음악이다. 중국의 제례악 전통을 받아들였으나, 세종대와 세조대를 거치며 조선만의 독창적 음악 양식으로 정착되었다.2. 종묘제례악 유래와 역사적 변천우리나라의 유교식 제례는 고려 시대부터 정립되었으며, 왕실의 사당인 태묘에서 중국에서 들여온 아악(雅樂)을 연주하며 제사를 지냈다. 이후 조선 세종대왕은 기존 아악이 백성의 정서에 맞지 않는다고 판단하여, 1435년(세종 17년)부터 새로운 제례악을 창작하도록 명하였다. 이에 따라.. 2025. 8.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