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산회상4

평조회상(유초신지곡) - 여백의 미학 세 번째 〈정악 감상 입문〉평조회상(유초신지곡) 평조회상(유초신지곡)은 현악영산회상(중광지곡)의 선율을 평조(平調)로 이조(移調)하여 연주하는 정악 합주곡이다. 조선 후기 이후, 정악의 형식을 한층 확장하며 감상의 폭을 넓힌 대표 작품으로 평가된다.특히 평조회상은 관·현 혼합 편성으로 이루어지며, 기존의 담백한 선율에 더해 장중한 음향 공간감을 형성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로 인해 느림과 반복 속에서 더욱 극적인 음색의 깊이와 선율의 입체감을 체험할 수 있다.🎼 조성과 편성의 변화이조 방식: 황종 중심의 우조 계열에서 임종 중심의 평조 계열로 이조됨음역의 변화: 기존보다 낮은 음역이 강조되며, 악기의 울림이 더욱 깊어짐편성 악기: 대금, 피리, 해금, 아쟁, 가야금, 거문고 장구 등. 구성 곡: 관악영산회상과 동.. 2025. 7. 27.
관악영산회상(표정만방지곡) - 여백의 미학 두번째 〈정악 감상 입문〉관악영산회상(표정만방지곡) 관악영산회상은 조선 시대 궁중과 사대부 계층에서 폭넓게 연주되던 대표적인 정악 합주곡이다. 본래 불교 의식곡인 〈영산회상불보살〉에서 유래한 이 음악은 성악 요소가 탈락하면서 기악곡으로 변화하였고, 조선 중기 이후 유교적 가치관을 중시하는 선비 사회와 궁중의 연향에서 모두 사랑받았다. ‘표정만방지곡(表正萬方之曲)’이라는 아명을 지니고 있는 관악영산회상은, 표정을 바로잡고 사방을 교화한다는 의미에서 그 위상을 엿볼 수 있다.이 곡은 특히 궁중 연향이나 정재(궁중무용)의 반주 음악으로도 사용되었으며, 장중한 분위기와 의식적인 흐름을 갖추고 있다. 연주 편성은 향피리를 중심으로 대금, 해금, 아쟁, 장구, 좌고 등 관악기와 저음 현악기들이 조화롭게 어우러진다.🎼 .. 2025. 7. 26.
현악영산회상(중광지곡) - 여백의 미학 첫번째 〈정악 감상 입문〉현악영산회상(중광지곡) 현악영산회상(중광지곡)은 조용하면서도 깊이 있는 울림으로 정악의 정수를 대표하는 기악 합주곡이다. 본래는 불교 의식곡 영산회상불보살에서 유래한 성악곡으로, 조선 중기 이후 선비 계층의 교양과 수양을 위한 감상용 음악으로 기악화되어 정제된 형식미를 갖추게 되었다. 이 곡은 '정악'이라는 장르 안에서도 여백과 절제를 통해 정서적 고요함을 전하는 대표적인 예로 손꼽힌다.현악영산회상은 거문고를 중심으로 가야금, 해금, 대금, 세피리, 단소, 장구 등 전통 현악기 중심 편성으로 연주된다. 🎼 곡 구성과 장단현악영산회상은 총 9곡으로 구성되며, 각 곡은 느린 장단에서 점차 빠른 장단으로 진행된다. 이러한 구성은 감상의 흐름을 정적에서 동적으로 이끄는 구조를 가지며, 느림 .. 2025. 7. 25.
〈정악 감상 입문〉 – 영산회상에서 미학을 느끼다 정악(正樂)은 흔히 ‘바른 음악’이라 해석되지만, 이는 단순한 가치 판단이 아닌 조선 시대 유교적 이상과 지배 계층의 미적 기준이 반영된 명칭이다. 궁중 제례와 선비의 수양을 위한 음악으로 연주되며, 느린 호흡과 절제된 표현으로 한국 음악의 정적인 아름다움을 대표한다.그중에서도 영산회상(靈山會相)은 기악 정악의 정수로 꼽힌다. 이 곡은 본래 불교의 찬불가 ‘영산회상불보살’에서 유래하여, 시간이 흐르며 가사가 탈락하고 기악곡으로 변화하였다. 이후 다양한 연주 편성과 조성을 통해 분화되며 독자적인 세 가지 갈래로 전승되고 있다. 1. 현악영산회상 (아명: 중광지곡)편성: 거문고, 가야금, 해금, 대금, 세피리, 장구, 양금, 단 현악기 중심의 편성구성: 총 9곡상령산 – 중령산 – 세령산 – 가락덜이 – .. 2025. 7.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