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선아리랑2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이야기 6 : 아리랑 ②편 본조, 정선, 밀양, 진도 아리랑의 특징과 감상 포인트 1. 본조 아리랑 – 가장 보편적이고 현대적인 아리랑전승 배경1926년 나운규 감독의 영화 〈아리랑〉의 주제가로 사용되며 전국적으로 확산되었다. 이후 대중가요, 교과서, 합창, 국악 창작곡 등으로 재해석되며 가장 널리 알려진 ‘아리랑’으로 자리잡았다. 가사 대표 구절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아리랑 고개로 넘어간다 나를 버리고 가시는 님은 십리도 못 가서 발병난다 토리와 음악적 특징토리: 경토리 중에 신경토리 (경기민요)음계: 솔–라–도–레–미 (5음음계), 종지음은 ‘도’장단: 세마치 장단 (9/8박자)특징: 구성은 간결하고 리듬감은 부드러우며, 누구나 따라 부르기 쉬운 구조이다.감상 포인트‘한국인이라면 누구나 부를 수 있는 아리랑’으로, 가장 대중적이며 다양한 장르로 확장된 아리랑이다. 선율이 단조롭고 .. 2025. 8. 25.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이야기 6 : 아리랑 ①편 – 민족의 노래, 세계의 노래가 되다 - 아리랑에 대한 모든 것을 알아보는 시리즈 1. 아리랑의 정의와 보편성 아리랑은 한국을 대표하는 민요로, ‘아리랑’ 또는 유사한 발음이 포함된 후렴구를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구조의 노래이다. 특정한 정형 가사 없이 자유로운 내용으로 부를 수 있고, 누구나 자신의 이야기를 담아 새롭게 구성할 수 있는 열린 민요라는 점에서 독특한 가치를 지닌다. 선율 또한 단순하고 반복적이어서 외국인도 쉽게 따라 부를 수 있을 정도로 보편성과 접근성이 뛰어나다.2. 민중의 삶에서 비롯된 노래아리랑은 특정 계층이나 제도권 음악 교육과정과 무관하게, 일상 속에서 자연스럽게 불리며 전승되어온(구전) 음악유산이다. 나무하기, 모심기, 논매기, 나물 캐기 등 노동의 순간마다 민중들이 삶의 고단함을 달래며 부른 노래였으며, 혼자서 흥.. 2025. 8.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