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악

현악영산회상(중광지곡) - 여백의 미학 첫번째

by focus-y 2025. 7. 25.

〈정악 감상 입문〉

현악영산회상(중광지곡) 

현악영산회상(중광지곡)은 조용하면서도 깊이 있는 울림으로 정악의 정수를 대표하는 기악 합주곡이다. 본래는 불교 의식곡 영산회상불보살에서 유래한 성악곡으로, 조선 중기 이후 선비 계층의 교양과 수양을 위한 감상용 음악으로 기악화되어 정제된 형식미를 갖추게 되었다. 이 곡은 '정악'이라는 장르 안에서도 여백과 절제를 통해 정서적 고요함을 전하는 대표적인 예로 손꼽힌다.

현악영산회상은 거문고를 중심으로 가야금, 해금, 대금, 세피리, 단소, 장구 등 전통 현악기 중심 편성으로 연주된다. 


🎼 곡 구성과 장단

현악영산회상은 총 9곡으로 구성되며, 각 곡은 느린 장단에서 점차 빠른 장단으로 진행된다. 이러한 구성은 감상의 흐름을 정적에서 동적으로 이끄는 구조를 가지며, 느림 속에 담긴 긴장과 여백의 미를 체험하게 한다.

순서 제목 장단 설명
1 상령산 20박 매우 느리고 긴 호흡의 선율로 장중한 분위기를 형성한다.
2 중령산 20박 상령산보다 다소 빠르며, 절제된 정서를 유지한다.
3 세령산 10박 경쾌하고 정제된 선율로 전환점이 되는 부분이다.
4 가락덜이 10박 짧고 간결한 음형으로 선율의 명료함을 강조한다.
5 상현도드리 6박 선율이 활기를 띠며 유려하게 흐른다.
6 하현도드리 6박 중음역 중심의 선율로 부드럽고 안정감을 준다.
7 염불도드리 6박 염불 장단을 바탕으로 간결하고 상징적인 흐름을 지닌다.
8 타령 12박 활달하고 명랑한 장단으로 분위기를 환기시킨다.
9 군악 12박 군례·행진을 연상시키는 당당한 리듬으로 곡을 마무리한다.

 

출처 : 국악방송TV(Gugak Broadcasting System: TV 현악영산회상 29분 45초~

 


🎧 감상 포인트

  • 거문고 중심의 선율 전개
    거문고가 이끄는 중심 선율이 절제된 흐름 속에서 곡 전체의 분위기를 조율한다. 해금, 가야금, 단소, 세피리 등 다른 악기와의 어우러짐이 조용한 울림 속에서도 섬세하게 들린다.
  • 느림과 반복 속의 정서
    현악영산회상은 빠르기보다는 느림의 미학을 중심으로 한다. 반복되는 장단과 선율 안에서도 미묘한 음색의 변화, 악기 간 미세한 호흡 차이가 감상의 핵심이다.
  • 정악의 정중동 체험
    겉보기에는 정적인 흐름이지만, 내부에는 끊임없는 움직임과 긴장감이 존재한다. 이는 정악 고유의 ‘정중동’ 미학을 체감하게 한다.

🎵 마무리 – 정중동과 여백의 미학

현악영산회상은 단지 느리고 조용한 음악이 아니다. 각 악기의 섬세한 선율과 여백을 채우는 절제된 울림은 고요 속에서도 풍부한 정서를 전달한다. 이러한 음악은 현대 감상자에게도 감정의 맑음과 집중을 제공하며, 정악의 세계에 첫 발을 들이기에 가장 좋은 입문서가 된다.


📚 영산회상 정리

제목 아명 악기 편성
현악영산회상 중광지곡 거문고, 가야금, 해금, 대금, 세피리, 단소, 장구
관악영산회상 표정만방지곡 향피리, 대금, 해금, 아쟁, 장구, 좌고, 장구
평조회상 유초신지곡 향피리, 대금, 해금, 아쟁, 가야금, 거문고 장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