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악 감상 입문〉
현악영산회상(중광지곡)
현악영산회상(중광지곡)은 조용하면서도 깊이 있는 울림으로 정악의 정수를 대표하는 기악 합주곡이다. 본래는 불교 의식곡 영산회상불보살에서 유래한 성악곡으로, 조선 중기 이후 선비 계층의 교양과 수양을 위한 감상용 음악으로 기악화되어 정제된 형식미를 갖추게 되었다. 이 곡은 '정악'이라는 장르 안에서도 여백과 절제를 통해 정서적 고요함을 전하는 대표적인 예로 손꼽힌다.
현악영산회상은 거문고를 중심으로 가야금, 해금, 대금, 세피리, 단소, 장구 등 전통 현악기 중심 편성으로 연주된다.
🎼 곡 구성과 장단
현악영산회상은 총 9곡으로 구성되며, 각 곡은 느린 장단에서 점차 빠른 장단으로 진행된다. 이러한 구성은 감상의 흐름을 정적에서 동적으로 이끄는 구조를 가지며, 느림 속에 담긴 긴장과 여백의 미를 체험하게 한다.
순서 | 제목 | 장단 | 설명 |
1 | 상령산 | 20박 | 매우 느리고 긴 호흡의 선율로 장중한 분위기를 형성한다. |
2 | 중령산 | 20박 | 상령산보다 다소 빠르며, 절제된 정서를 유지한다. |
3 | 세령산 | 10박 | 경쾌하고 정제된 선율로 전환점이 되는 부분이다. |
4 | 가락덜이 | 10박 | 짧고 간결한 음형으로 선율의 명료함을 강조한다. |
5 | 상현도드리 | 6박 | 선율이 활기를 띠며 유려하게 흐른다. |
6 | 하현도드리 | 6박 | 중음역 중심의 선율로 부드럽고 안정감을 준다. |
7 | 염불도드리 | 6박 | 염불 장단을 바탕으로 간결하고 상징적인 흐름을 지닌다. |
8 | 타령 | 12박 | 활달하고 명랑한 장단으로 분위기를 환기시킨다. |
9 | 군악 | 12박 | 군례·행진을 연상시키는 당당한 리듬으로 곡을 마무리한다. |
🎧 감상 포인트
- 거문고 중심의 선율 전개
거문고가 이끄는 중심 선율이 절제된 흐름 속에서 곡 전체의 분위기를 조율한다. 해금, 가야금, 단소, 세피리 등 다른 악기와의 어우러짐이 조용한 울림 속에서도 섬세하게 들린다. - 느림과 반복 속의 정서
현악영산회상은 빠르기보다는 느림의 미학을 중심으로 한다. 반복되는 장단과 선율 안에서도 미묘한 음색의 변화, 악기 간 미세한 호흡 차이가 감상의 핵심이다. - 정악의 정중동 체험
겉보기에는 정적인 흐름이지만, 내부에는 끊임없는 움직임과 긴장감이 존재한다. 이는 정악 고유의 ‘정중동’ 미학을 체감하게 한다.
🎵 마무리 – 정중동과 여백의 미학
현악영산회상은 단지 느리고 조용한 음악이 아니다. 각 악기의 섬세한 선율과 여백을 채우는 절제된 울림은 고요 속에서도 풍부한 정서를 전달한다. 이러한 음악은 현대 감상자에게도 감정의 맑음과 집중을 제공하며, 정악의 세계에 첫 발을 들이기에 가장 좋은 입문서가 된다.
📚 영산회상 정리
제목 | 아명 | 악기 편성 |
현악영산회상 | 중광지곡 | 거문고, 가야금, 해금, 대금, 세피리, 단소, 장구 |
관악영산회상 | 표정만방지곡 | 향피리, 대금, 해금, 아쟁, 장구, 좌고, 장구 |
평조회상 | 유초신지곡 | 향피리, 대금, 해금, 아쟁, 가야금, 거문고 장구 |
'국악'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관악영산회상(표정만방지곡) - 여백의 미학 두번째 (0) | 2025.07.26 |
---|---|
〈정악 감상 입문〉 – 영산회상에서 미학을 느끼다 (0) | 2025.07.24 |
〈풍류대장〉 소리꾼 고영열의 무대 (0) | 2025.07.19 |
퓨전국악 입문용 기악곡 추천 (0) | 2025.07.12 |
〈풍류대장〉 화제의 소리꾼, 최예림 노래 추천(Lose yourself) (0) | 2025.07.12 |
국악 퓨전의 최전선, 이날치 노래 추천(범 내려온다 외) (0) | 2025.07.12 |
<풍류대장> 판소리꾼 김준수 노래추천(어사출두) (0) | 2025.07.11 |
경기민요 송소희 노래추천(Not a dream) (0) | 2025.07.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