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33

뮤지컬 영웅 넘버 총정리(누가 죄인인가) 뮤지컬 〈영웅〉 대표 넘버 8곡 음악으로 완성되는 신념의 기록뮤지컬 〈영웅〉은 안중근 의사의 하얼빈 의거부터 사형 직전까지의 마지막 1년을 다룬 대한민국 창작 뮤지컬이다. 이 작품은 단지 영웅적 행동을 그리는 데 머물지 않고, 인물의 내면과 역사적 맥락을 음악으로 섬세하게 풀어낸다. 다음은 작품의 중심을 이루는 대표 넘버 8곡에 대한 상세한 해설이다.1.〈영웅〉 – 타국의 태양 아래서 되뇌는 결의이 곡은 안중근과 동지들이 하얼빈 의거를 앞두고 조국을 떠올리며 부르는 타이틀 넘버이다.“타국의 태양, 광활한 대지 / 우린 어디에 있나…”라는 서정적인 가사는 망명지에서 느끼는 고독과 고향에 대한 그리움을 담고 있다.이후 “장부가 세상에 태어나 큰 뜻을 품었으니 / 죽어도 그 뜻 잊지 말자”라는 구절은 의열 투.. 2025. 7. 17.
서양악기 5부 - 목관악기 🎼 서양 목관악기유래부터 구조, 대표곡까지‘목관악기’는 원래 대부분 나무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붙은 이름이다. 지금은 금속으로 된 악기도 많지만, 여전히 ‘목관악기’라 부른다. 중요한 건 재료보다 어떻게 소리를 내느냐이다. 목관악기는 숨을 넣으면 관 안에서 공기가 진동하며 소리가 나는 악기이다. 반면 금관악기는 입술을 진동시켜야 소리가 나므로, 둘은 부는 방식에서 큰 차이가 있다.이번 글에서는 오케스트라에서 자주 볼 수 있는 서양 목관악기 5가지, 즉 플루트, 피콜로, 클라리넷, 오보에, 바순을 소개한다. 각 악기의 구조와 소리, 대표곡까지 함께 살펴보자.1. 플루트 (Flute)플루트는 리드 없이 공기를 구멍 위에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악기이다. 아주 오래 전 고대 문명에서도 있었고, 지금의 금속 플루.. 2025. 7. 16.
서양악기 4부 - 금관악기 서양 금관악기유래부터 구조, 대표곡까지서양 금관악기는 말 그대로 금속으로 만들어진 관악기이다. 그러나 단순히 재료가 금속이라 금관악기로 분류되는 것은 아니다. 플루트나 피콜로도 금속으로 되어 있지만 ‘목관악기’에 속하는 이유는, 소리를 내는 방식 때문이다. 목관악기는 숨을 불어 넣어 공기를 진동시키는 방식이고, 금관악기는 반드시 입술을 마우스피스에 대고 떨게 하여, 그 떨림이 관 안의 공기를 진동시켜 소리를 만든다. 즉, 입술 자체가 진동체 역할을 하는 것이다.이번 글에서는 오케스트라와 관악합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네 가지 금관악기인 트럼펫, 트롬본, 호른, 튜바에 대해 알아본다.1. 트럼펫 (Trumpet)트럼펫은 금관악기 중 가장 높은 음을 내는 악기이다. 고대 이집트와 로마 시대에는 군대에서 신.. 2025. 7. 16.
서양악기 3부 - 타악기 서양 타악기 5선울림에서 리듬까지, 오케스트라의 심장서양 오케스트라에서 타악기는 리듬을 만드는 것뿐만 아니라, 음악의 색채와 긴장감을 더해주는 중요한 악기군이다. 타악기는 크게 ‘음높이가 정해진 유율 타악기’와 ‘음높이가 정해지지 않은 무율 타악기’로 나뉜다. 이번 글에서는 대표적인 유율 타악기와 무율 타악기들을 함께 소개한다.1. 팀파니 (Timpani) – 유율 타악기유래: 중동의 ‘나커르’에서 발전, 18세기 이후 클래식 오케스트라의 기본 타악기구조: 반구형 금속 몸통 + 가죽/플라스틱 헤드, 페달로 '조율'(음정이 있음) 가능음역대: F2–C4🎧 https://www.youtube.com/watch?v=PRTxPJfCKhY출처 : Freer Percussion 2. 마림바 (Marimba) .. 2025. 7. 15.
서양악기 2부 - 현악기(바이올린,비올라,첼로,더블베이스,하프) 🎻 서양 현악기 5선 서양 클래식 음악에서 현악기는 오케스트라의 중심을 이루는 악기군이다. 각 악기는 고유의 음역과 음색을 지니며, 다양한 감정을 표현할 수 있는 강력한 표현 도구이다. 이번 글에서는 바이올린, 비올라, 첼로, 더블베이스, 하프 다섯 가지 대표 현악기를 유래, 구조, 음역대, 대표 독주곡과 함께 소개한다.🎻 1. 바이올린 (Violin)유래: 르네상스 후기에 이탈리아 북부에서 비올 계열 악기로부터 발전하였다. 16세기 후반부터 현대적 구조가 정립되었다.구조: 전체 길이 약 60cm. 4현(G–D–A–E)을 활(arco)로 연주하며, 음색은 섬세하고 밝다.재료: 몸통은 가문비나무(앞판)와 단풍나무(뒤판, 측면), 지판은 흑단.음역대: G3 ~ E7대표곡:🎧 멘델스존 – 바이올린 협주곡.. 2025. 7. 15.
서양악기 1부 - 목관악기 vs 금관악기 구분법! 악기의 분류는 단순히 재료가 아닌, ‘어떻게 소리를 내는가’에 따라 나뉘는 경우가 많다. 특히 목관악기와 금관악기는 겉모습보다 ‘발음 방식’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인다.1. 목관악기: 숨을 불어 넣으면 소리가 나는 악기목관악기는 공기의 흐름으로 악기 내부의 공기기둥이 진동하여 소리가 나는 구조를 가진다.입술을 떨 필요는 없으며, 입 모양은 고정하되 진동원은 리드나 공기의 흐름이다.플루트: 병 입구에 바람을 불듯이, 바람을 구멍 가장자리에 불어 넣으면 소리가 난다. 입술은 고정하고, 공기 흐름이 직접 진동을 만든다.클라리넷, 오보에: 입에 문 ‘리드(얇은 나무 조각)’가 공기 흐름에 따라 진동하면서 소리를 낸다.클라리넷: 홑리드(single reed)오보에: 겹리드(double reed)🎯 핵심: 입술을 .. 2025. 7.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