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구3 평조회상(유초신지곡) - 여백의 미학 세 번째 〈정악 감상 입문〉평조회상(유초신지곡) 평조회상(유초신지곡)은 현악영산회상(중광지곡)의 선율을 평조(平調)로 이조(移調)하여 연주하는 정악 합주곡이다. 조선 후기 이후, 정악의 형식을 한층 확장하며 감상의 폭을 넓힌 대표 작품으로 평가된다.특히 평조회상은 관·현 혼합 편성으로 이루어지며, 기존의 담백한 선율에 더해 장중한 음향 공간감을 형성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로 인해 느림과 반복 속에서 더욱 극적인 음색의 깊이와 선율의 입체감을 체험할 수 있다.🎼 조성과 편성의 변화이조 방식: 황종 중심의 우조 계열에서 임종 중심의 평조 계열로 이조됨음역의 변화: 기존보다 낮은 음역이 강조되며, 악기의 울림이 더욱 깊어짐편성 악기: 대금, 피리, 해금, 아쟁, 가야금, 거문고 장구 등. 구성 곡: 관악영산회상과 동.. 2025. 7. 27. 현악영산회상(중광지곡) - 여백의 미학 첫번째 〈정악 감상 입문〉현악영산회상(중광지곡) 현악영산회상(중광지곡)은 조용하면서도 깊이 있는 울림으로 정악의 정수를 대표하는 기악 합주곡이다. 본래는 불교 의식곡 영산회상불보살에서 유래한 성악곡으로, 조선 중기 이후 선비 계층의 교양과 수양을 위한 감상용 음악으로 기악화되어 정제된 형식미를 갖추게 되었다. 이 곡은 '정악'이라는 장르 안에서도 여백과 절제를 통해 정서적 고요함을 전하는 대표적인 예로 손꼽힌다.현악영산회상은 거문고를 중심으로 가야금, 해금, 대금, 세피리, 단소, 장구 등 전통 현악기 중심 편성으로 연주된다. 🎼 곡 구성과 장단현악영산회상은 총 9곡으로 구성되며, 각 곡은 느린 장단에서 점차 빠른 장단으로 진행된다. 이러한 구성은 감상의 흐름을 정적에서 동적으로 이끄는 구조를 가지며, 느림 .. 2025. 7. 25. 국악기 3부 - 국악 타악기 국악 타악기의 모든 것– 유율 타악기와 무율 타악기ㅋ타악기는 단순한 ‘리듬 악기’가 아니다국악에서 타악기는 단순히 박자를 맞추는 도구가 아니다.타악기는 음악의 시작과 끝을 알리고, 장단을 주도하며, 때로는 음악의 분위기나 의식 속의 상징적 의미를 전달하는 핵심 구성 요소이다.특히 한국 전통음악에서는 **‘장단’**이라는 고유한 시간 개념이 중요하다.장단은 단순한 리듬을 넘어서 음악의 전체 구조와 흐름을 짜는 시간의 틀을 의미하며, 이 구조 안에서 타악기는 음악을 이끌고 규칙을 만들어가는 역할을 한다.따라서 타악기 없이 완성되는 전통음악은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이러한 타악기를 이해할 때 가장 기본적이고도 실용적인 분류 기준은바로 ‘음높이(音高)’가 있느냐 없느냐, 즉 유율(有律)과 무율(無律)의 여부이다... 2025. 7. 9.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