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서양음악

서양악기 1부 - 목관악기 vs 금관악기 구분법!

by focus-y 2025. 7. 13.

금관 목관 악기

악기의 분류는 단순히 재료가 아닌, ‘어떻게 소리를 내는가’에 따라 나뉘는 경우가 많다. 특히 목관악기와 금관악기는 겉모습보다 ‘발음 방식’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인다.


1. 목관악기: 숨을 불어 넣으면 소리가 나는 악기

목관악기는 공기의 흐름으로 악기 내부의 공기기둥이 진동하여 소리가 나는 구조를 가진다.
입술을 떨 필요는 없으며, 입 모양은 고정하되 진동원은 리드나 공기의 흐름이다.

  • 플루트: 병 입구에 바람을 불듯이, 바람을 구멍 가장자리에 불어 넣으면 소리가 난다. 입술은 고정하고, 공기 흐름이 직접 진동을 만든다.
  • 클라리넷, 오보에: 입에 문 ‘리드(얇은 나무 조각)’가 공기 흐름에 따라 진동하면서 소리를 낸다.
    • 클라리넷: 홑리드(single reed)
    • 오보에: 겹리드(double reed)

🎯 핵심: 입술을 떨지 않아도, 공기의 흐름만으로 소리를 낼 수 있다.


2. 금관악기: 입술을 떨며 불어야 소리가 나는 악기

금관악기는 입술 자체를 진동시켜서 소리를 내는 구조이다.
공기만 불어서는 소리가 나지 않으며, 입술의 떨림이 진동원의 역할을 한다.

  • 트럼펫, 트롬본, 튜바 등은 금속 마우스피스를 입에 대고, 입술을 다문 채로 미세하게 떨면서 공기를 밀어 넣어야 한다.
  • 이 입술의 떨림이 악기 내부로 전달되어, 긴 관을 따라 공기기둥이 진동하며 울려 퍼진다.

🎯 핵심: 입술의 진동 없이는 소리가 나지 않으며, 이 점이 목관악기와 가장 다른 부분이다.


🧾 결론적으로

구분 부는 방식 대표 악기 예시
목관악기 입술은 고정, 리드 또는 공기 흐름으로 진동 플루트, 클라리넷, 오보에 등
금관악기 입술을 떨며 직접 진동시켜 발음 트럼펫, 트롬본, 튜바 등
 
  • 과거 목관악기는 대부분 나무로 제작되어 ‘목(木)관악기’라 불렸으나, 오늘날에는 금속제(예: 플루트)도 많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발음 방식이 같기 때문에 목관악기로 분류된다.

📌 요점 정리
악기를 분류하는 가장 중요한 기준은 재료가 아니라 ‘소리를 내는 방식’, 즉 진동원이 무엇인가이다.
이 원리를 이해하면, 악기의 구조와 음색을 더욱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