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서양음악

서양악기 3부 - 타악기

by focus-y 2025. 7. 15.

서양 타악기 5선

울림에서 리듬까지, 오케스트라의 심장

서양 오케스트라에서 타악기는 리듬을 만드는 것뿐만 아니라, 음악의 색채와 긴장감을 더해주는 중요한 악기군이다. 타악기는 크게 ‘음높이가 정해진 유율 타악기’와 ‘음높이가 정해지지 않은 무율 타악기’로 나뉜다. 이번 글에서는 대표적인 유율 타악기와 무율 타악기들을 함께 소개한다.


1. 팀파니 (Timpani)  – 유율 타악기

  • 유래: 중동의 ‘나커르’에서 발전, 18세기 이후 클래식 오케스트라의 기본 타악기
  • 구조: 반구형 금속 몸통 + 가죽/플라스틱 헤드, 페달로 '조율'(음정이 있음) 가능
  • 음역대: F2–C4
    🎧 https://www.youtube.com/watch?v=PRTxPJfCKhY
출처 : Freer Percussion

 


2. 마림바 (Marimba)  – 유율 타악기

출처 : 펄스 퍼커션 PULSE PERCUSSION

 


3. 실로폰 (Xylophone) – 유율 타악기

  • 유래: 아시아·아프리카 기원, 유럽에서 콘서트용으로 정착
  • 구조: 나무 건반 + 전통적으로 공명관 없음. 현대형은 짧은 금속관 덧댐
  • 음역대: F3–C7
    🎧 https://www.youtube.com/watch?v=VNeCB0K8IaQ
출처 : 악기하면멘토뮤직

 


4. 글로켄슈필 (Glockenspiel) – 유율 타악기

  • 유래: 18세기 독일 궁정에서 유래, 독일어로 ‘종 놀이’
  • 구조: 금속판 건반, 공명관 없이 금속 자체 울림
  • 음역대: 통상적으로 G5–C8 , 일부 3.3옥타브(대체로 C5–E8까지 확장) 
    🎧 https://www.youtube.com/watch?v=ceipHxS_E-0
출처 : Michael LaMattina

 


5. 스네어드럼 (Snare Drum) – 무율 타악기

  • 유래: 중세 유럽 군악기 ‘타브르’에서 발전
  • 구조: 상단 북 + 하단 금속 스네어 와이어
  • 음역대: 무율(고정 음높이 없음)
  • 대표곡: 라벨 – 볼레로 (꾸준한 스네어 드럼 리듬)
    🎧 https://www.youtube.com/watch?v=alBQFJjniV0
출처 : TomatoClassic 토마토클래식

6. 심벌즈 (Cymbals) – 무율 타악기

  • 유래: 고대 터키·그리스에서 유래. 오케스트라, 행진곡, 록 등 광범위하게 사용
  • 구조: 두 개의 동그란 금속판을 부딪혀 강렬한 타격음 생성
  • 음역대: 무율 (공명과 잔향 중심)
  • 🎧 https://www.youtube.com/watch?v=CHwJ3kJLC-E
출처 : Steve Weiss Music

 

 

서양 타악기는 단순한 리듬을 넘어, 음악의 감정과 긴장감을 극적으로 끌어올리는 도구이다. 유율 타악기와 무율 타악기의 차이를 이해하면 오케스트라 음악을 보다 섬세하게 들을 수 있다. 특히 마림바와 실로폰, 글로켄슈필처럼 외형이 비슷한 악기들도 세부 구조와 음색 차이를 느껴보며 감상해보자. 이번 글이 클래식 입문자와 어린이에게 타악기의 세계를 여는 좋은 시작점이 되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