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이야기 6 아리랑 ③편- 한국인의 노래, 아리랑의 진화(소향, 윤도현, BTS)
한국인의 노래, 아리랑의 진화 – 지역 아리랑과 현대 창작 아리랑‘아리랑’은 본조, 정선, 밀양, 진도 아리랑만 있는 것이 아니다. 전국 방방곡곡에서 수십 종 이상의 다양한 아리랑이 전승되어 왔으며, 현대에 들어서는 창작 민요, 대중가요, 퓨전 음악, K-pop 무대까지 그 영역이 확장되며 새로운 옷을 입고 불리고 있다. 이번 글에서는 지역 기반 아리랑과 현대 창작 아리랑의 다양한 스펙트럼을 함께 살펴본다.1. 강원도 아리랑 – 산맥 너머 한의 정서📍 강원도 전역토리: 메나리토리 (동부 민요)음계·장단:상행: 미·라·도'·(레')·미'의 4음 음계하행: 미'·(레')·도'·라·솔·미의 5음 음계장단: 장단: 엇모리장단 (10/8박 – 3+2+3+2 구조)메나리토리는 선율의 방향에 따라 구성음이 달라지는..
2025. 8.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