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악31 8월 23일 KBS 국악한마당 다시보기 – 굿굿굿! K-굿이로구나 “굿은 죽은 자의 넋을 기리고 산 자의 안녕을 기원하는 우리의 전통 의례이자 예술”이라는 말처럼, 한국의 굿은 노래와 춤, 음악이 어우러진 최초의 공연 예술이라 할 수 있다. 이번 1568회 KBS 국악한마당은 ‘K-굿’을 주제로 전통과 현대를 잇는 무대를 선보인다.공연 주제: K-굿, 한국의 굿은 살아있는 무대다주제: 굿굿굿! K-굿이로구나연출 의도: 굿이 지닌 원형적 힘을 오늘날 무대예술로 풀어내며, 한국 전통이 세계 속에서 새롭게 변신하는 과정을 보여준다.무대 1. 동해 민살풀이구성: 방지원, 민경문출연:굿춤 – 민경문장구·구음 – 방지원징 – 배민호꽹과리 – 문지훈동해안 별신굿의 맥을 잇는 춤과 장단으로 무대의 문을 연다. 한풀이의 정서와 굿의 본질이 살아있는 시간이다. https://www.yo.. 2025. 8. 24.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6 : 남사당놀이의 역사와 구성 1. 남사당놀이란 무엇인가남사당놀이는 조선 후기에 등장한 전문 유랑 예인 집단 남사당패가 전승한 종합 민속예능이다. 서민을 위한 오락 공연의 대표적 사례로, 풍물·곡예·탈놀이·인형극까지 아우르는 복합적인 전통 연희다.1964년 국가무형문화재 제3호로 지정되었으며, 2009년에는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대표목록에 등재되었다.공연은 민중에게 흥(興)과 카타르시스를 제공하며, 억눌린 현실 속에서 공동체적 연대와 위로의 역할을 담당했다. 오늘날까지 이어지는 한국 민속예술의 정수로 평가된다.2. 유래와 남사당패남사당패는 보통 30~50명 규모의 남성 예인 집단으로, 경기와 충청을 중심으로 전국을 떠돌았다. 마을에 들어서면 먼저 제당(祭堂)에서 풍물을 울리며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고, 이어서 본격적인 놀이마당을 열.. 2025. 8. 23.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이야기 5 : 처용무 – 오방색 춤사위에 담긴 궁중 정재와 설화 1. 정의와 개요처용무는 신라 헌강왕 시절의 처용 설화에서 유래한 궁중 정재(呈才)로, 향악에 바탕을 둔 한국 전통 무용이다. 다섯 명의 무용수가 오방색 의상을 입고 처용 가면을 쓰고 추는 춤으로, 단순한 예술을 넘어 벽사진경(辟邪進慶: 액운을 물리치고 복을 기원)의 상징을 지닌다.현재 처용무는 국가무형문화재 제39호(1971)로 지정되었으며, 2009년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2. 유래와 역사 – 처용 설화처용무의 기원은 『삼국유사』에 전하는 다음과 같은 설화에 뿌리를 두고 있다.신라 헌강왕 때, 역신(疫神)이 처용의 집에 들어가 그의 아내와 함께 침상에 있었다. 처용이 그 장면을 목격했음에도 분노하지 않고, 오히려 노래와 춤을 추며 태연하게 대했다. 이에 감동한 역신은 “처용이 사는.. 2025. 8. 22.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이야기 4 : 종묘제례악의 모든 것 🎼 1. 종묘제례악이란?종묘제례악은 조선 왕조의 선왕에게 드리는 유교적 제사인 종묘제례에서 연주되는 음악과 춤, 의례의 총합이다. 음악(樂)과 춤(舞), 제례(禮)가 유기적으로 결합된 복합 예술이며, 유교적 예제(禮制)에 따라 조상의 덕과 무공을 찬양하고 나라의 안녕을 기원하는 의례음악이다. 중국의 제례악 전통을 받아들였으나, 세종대와 세조대를 거치며 조선만의 독창적 음악 양식으로 정착되었다.2. 종묘제례악 유래와 역사적 변천우리나라의 유교식 제례는 고려 시대부터 정립되었으며, 왕실의 사당인 태묘에서 중국에서 들여온 아악(雅樂)을 연주하며 제사를 지냈다. 이후 조선 세종대왕은 기존 아악이 백성의 정서에 맞지 않는다고 판단하여, 1435년(세종 17년)부터 새로운 제례악을 창작하도록 명하였다. 이에 따라.. 2025. 8. 22.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이야기 3 : 강강술래 정의·역사·특징 1. 강강술래 정의 및 개요강강술래는 여성들이 보름달 아래 손을 잡고 원을 그리며 부르는 노래이자 춤으로, 노래와 춤, 놀이가 유기적으로 어우러진 집단적 민속예능이다. 주로 전라도 지역에서 전승되어 왔으며, 한국의 중요무형문화재 제8호(1966년 지정)로 보호되고 있다. 2009년에는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2. 강강술래 유래와 배경강강술래의 유래에는 두 가지 대표적인 설이 존재한다.1) 추석 명절의 세시풍속 설오곡이 무르익는 추석 무렵, 보름달 아래 마을 여성들이 모여 농사의 수고를 위로하고 공동체의 결속을 다지기 위해 벌이던 놀이로 여겨진다. 명절의 축제성과 흥겨움이 어우러진 여성 중심의 공동체 무용으로, 전통 농경사회 속 집단의 화합과 풍요의 기원을 담고 있다.2) 임진왜란 시기의 .. 2025. 8. 21. 8월 16일 KBS 국악한마당 다시보기 – 가야금병창의 아름다움, 전통과 창작의 만남 국악한마당 1567회 다시보기, 출연진, 무대 정리KBS 1TV 《국악한마당》 제1567회는 2025년 8월 16일(토) 낮 12시 10분에 방송되었다. 이번 무대는 ‘가야금병창, 꽃을 피우다’라는 주제로 진행되었으며, 전통과 창작이 어우러진 다채로운 프로그램을 선보였다. 가야금의 섬세한 울림과 소리꾼들의 깊이 있는 창법이 만나 국악의 또 다른 매력을 보여주었다.출연진 및 공연 순서이번 회차에는 정예진, 장희지, 차보영 등 실력파 국악인이 출연해 풍성한 무대를 꾸몄다. 특히 박귀희 명창의 작품과 현대 작곡가들의 창작곡이 함께 구성되어 전통과 현대가 공존하는 공연이 완성되었다.순서곡명출연자특징1범벅타령 (박귀희 작곡)정예진 외경쾌한 장단 속에 가야금병창의 묘미를 살린 오프닝 무대2판소리 춘향가 중 ‘사랑가.. 2025. 8. 20. 이전 1 2 3 4 5 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