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리랑에 대한 모든 것을 알아보는 시리즈
1. 아리랑의 정의와 보편성
아리랑은 한국을 대표하는 민요로, ‘아리랑’ 또는 유사한 발음이 포함된 후렴구를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구조의 노래이다. 특정한 정형 가사 없이 자유로운 내용으로 부를 수 있고, 누구나 자신의 이야기를 담아 새롭게 구성할 수 있는 열린 민요라는 점에서 독특한 가치를 지닌다. 선율 또한 단순하고 반복적이어서 외국인도 쉽게 따라 부를 수 있을 정도로 보편성과 접근성이 뛰어나다.
2. 민중의 삶에서 비롯된 노래
아리랑은 특정 계층이나 제도권 음악 교육과정과 무관하게, 일상 속에서 자연스럽게 불리며 전승되어온(구전) 음악유산이다. 나무하기, 모심기, 논매기, 나물 캐기 등 노동의 순간마다 민중들이 삶의 고단함을 달래며 부른 노래였으며, 혼자서 흥얼거리기도 하고 여럿이 어울려 부르기도 했다. 이름 없는 사람들의 삶에서 길어 올려진 노래로서, 아리랑은 한민족의 집단적 정서를 고스란히 담아낸다.
3. 지역성과 다양성
아리랑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는 지역성과 변이성이다.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라는 후렴구만 공유된다면, 어떤 내용이든 노래가 될 수 있다는 특성 때문에 전국 각지에서 자신들의 방언, 감정, 문화가 녹아든 아리랑이 생성되었다.
현재까지 60여 종의 아리랑 유형과 3,600여 개의 가사(사설)가 전승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출처: 문화재청, 국립국악원 아리랑DB】, 대표적으로 정선아리랑, 밀양아리랑, 진도아리랑이 ‘3대 아리랑’으로 널리 인식된다.
4. 본조 아리랑의 등장과 대중화
오늘날 가장 널리 알려진 아리랑은 1926년 나운규 감독의 영화 〈아리랑〉의 주제가로 새롭게 작곡된 곡이다. 이 곡은 전통 아리랑의 선율을 변형하여 세마치장단(9/8박자)으로 편곡되었으며, 식민지 현실과 민족 감정을 반영한 사설을 통해 민중의 공감을 얻었다.
이 노래는 이후 ‘본조 아리랑’으로 불리게 되었고, 영화·악극·무용·계몽가요 등 다양한 장르로 확산되며 민족의 노래로 상징화되었다.
‘본조’라는 명칭은 특정 지역의 본류 민요라는 의미라기보다, 아리랑 계열 중 중심적인 위상을 가진 곡이라는 뜻으로 1960년대 이후 일반화되었다. 따라서 정선·밀양·진도 등 전통 아리랑보다 선행된 곡이 아니며, 오히려 그 모티브를 차용한 신민요 성격의 창작곡이다.
https://www.youtube.com/watch?v=H_2yhCjGQuQ
5. 아리랑의 민족적 상징성과 세계적 확산
아리랑은 20세기 이후 일제강점기, 분단, 산업화를 거치며 민족의 정체성과 정서를 상징하는 노래로 자리매김하였다.
2002년 한일 월드컵에서는 거리 응원가로 쓰이며 세계인의 주목을 받았고,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 개막식에서는 남북한 선수단이 아리랑에 맞춰 공동 입장해 국제사회의 이목을 끌었다.
또한 1989년 남북 체육회담에서는 본조 아리랑이 공동 응원가로 활용되었으며, 이를 통해 남과 북이 모두 이 노래를 ‘민족의 노래’로 공유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https://www.youtube.com/watch?v=o1vp5XoBRkE
6.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
2012년 12월 6일, 아리랑은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대표목록(Representative List)에 등재되었다.
등재 명칭은 “Arirang, lyrical folk song in the Republic of Korea” (〈아리랑 – 한국의 서정 민요〉)로, 이는 특정 지역의 아리랑만을 지칭하는 것이 아니라 정선·밀양·진도 등의 향토 아리랑뿐 아니라 본조 아리랑까지 포함한 전체 아리랑 계열을 포괄한다.
이러한 등재는 단순한 민요의 보호를 넘어, 아리랑이 한민족의 정서와 창조성, 지역성과 보편성을 모두 담은 문화유산임을 세계가 인정한 것이다.
🔖 마무리: 민요를 넘어선 문화 정체성
아리랑은 단지 오래된 민요가 아니다.
그것은 민중의 삶에서 우러난 정서의 언어이며, 시대의 고난과 희망을 담아 부를 수 있는 공감의 코드이자, 한민족 전체를 하나로 연결하는 문화적 DNA이다.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된 이 노래는 앞으로도 민족의 현재와 미래를 노래하는 살아 있는 유산으로서, 수백 년 후에도 변함없이 우리 곁에 머물 것이다.
다음글에서는 전해지는 아리랑 중 유명한 아리랑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국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이야기 7 영산재(靈山齋) ①편 — 불교 의례와 종합예술의 가치 (0) | 2025.09.04 |
---|---|
8월 30일 KBS 국악한마당 다시보기 – 대학 무용 축제, 전통과 창작이 어우러진 무대 (0) | 2025.08.31 |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이야기 6 아리랑 ③편- 한국인의 노래, 아리랑의 진화(소향, 윤도현, BTS) (2) | 2025.08.30 |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이야기 6 : 아리랑 ②편 본조, 정선, 밀양, 진도 아리랑의 특징과 감상 포인트 (6) | 2025.08.25 |
8월 23일 KBS 국악한마당 다시보기 – 굿굿굿! K-굿이로구나 (4) | 2025.08.24 |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6 : 남사당놀이의 역사와 구성 (0) | 2025.08.23 |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이야기 5 : 처용무 – 오방색 춤사위에 담긴 궁중 정재와 설화 (2) | 2025.08.22 |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이야기 4 : 종묘제례악의 모든 것 (0) | 2025.08.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