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정의와 개요
처용무는 신라 헌강왕 시절의 처용 설화에서 유래한 궁중 정재(呈才)로, 향악에 바탕을 둔 한국 전통 무용이다. 다섯 명의 무용수가 오방색 의상을 입고 처용 가면을 쓰고 추는 춤으로, 단순한 예술을 넘어 벽사진경(辟邪進慶: 액운을 물리치고 복을 기원)의 상징을 지닌다.
현재 처용무는 국가무형문화재 제39호(1971)로 지정되었으며, 2009년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2. 유래와 역사 – 처용 설화
처용무의 기원은 『삼국유사』에 전하는 다음과 같은 설화에 뿌리를 두고 있다.
신라 헌강왕 때, 역신(疫神)이 처용의 집에 들어가 그의 아내와 함께 침상에 있었다. 처용이 그 장면을 목격했음에도 분노하지 않고, 오히려 노래와 춤을 추며 태연하게 대했다. 이에 감동한 역신은 “처용이 사는 곳에는 다시는 들어가지 않겠다”고 맹세하고 달아났다.
이 사건은 곧 악귀를 관용과 예술로 제압한 상징적 이야기로 전승되었고, 이후 사람들은 처용의 얼굴을 가면·그림으로 만들어 문에 붙여 벽사(辟邪)의 의미를 담았다. 나아가 조선시대에는 궁중 연향의 정재로 정립되며, 왕실 권위와 국태민안을 기원하는 의식적 무용으로 발전하였다.
특히 연산군은 처용무에 깊은 애정을 보여 직접 무대에 올라 춤을 추기도 했으며, 무용수들의 동작까지 세세히 지시한 기록이 『연산군일기』에 남아 있다.
3. 춤 구성과 형식
처용무는 음양오행 사상과 유교적 위계질서를 춤사위로 구현한 무용이다.
- 일렬작대무: 다섯 무용수가 일렬로 나란히 섬
- 오방작대무: 중앙 황처용을 중심으로 동·서·남·북의 색상으로 십자 배열
- 우선회무·좌선회무: 시계 방향·반대 방향으로 원형 회전
전체 순서는 일렬작대 → 사우작대 → 우선회무 → 일렬작대 → 오방작대 → 좌선회무 → 일렬작대로 진행되며, 이는 사계절의 변화와 인간 사회의 조화를 상징한다.
4. 음악과 창사
과거 처용무는 〈처용가〉(봉황음)와 함께 불리며 연행되었다. 『악학궤범』에는 수제천, 언락, 향당교주, 세령산, 삼현도드리, 편락, 웃도드리 등으로 구성된 연주 체계가 기록되어 있다.
오늘날 공연에서는 주로 〈수제천〉이나 〈향당교주〉를 중심으로 간략화된 음악 구성을 사용한다.
https://www.youtube.com/watch?v=zVVbvbqgHW8
5. 복식과 가면
- 의상: 오방색 겉옷과 긴 소매 흰 저고리(한삼), 홍정대, 황초상 착용
- 바지: 청·적·흑색 말군
- 가면: 사모에 모란·복숭아 장식, 귀걸이가 달린 처용 가면
- 무구: 천의(天衣)를 어깨에 드리움
모든 복식은 『악학궤범』의 도설과 기록을 바탕으로 재현된다.
6. 문화적 의의
처용무는 단순한 궁중 춤을 넘어, 역병을 물리치고 나라의 안녕을 기원하는 의례적 상징을 담은 무용이다. 또한 음양오행과 유교적 질서를 시각적으로 구현하여, 한국 전통사상의 정수를 보여준다.
특히 ‘역신 앞에서도 노래와 춤으로 대응한 처용의 태도’는 한국인의 관용과 예술적 정신을 상징하며, 천 년 넘게 전승되어 온 독창적 문화유산으로 세계적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마무리 – 우리의 소중한 무형문화유산
처용무는 오방색 춤사위 속에 자연, 인간, 사회, 국가의 조화를 담아낸 한국 고유의 예술이다. 유네스코가 인정한 이 무형문화유산을 꾸준히 지켜내는 것은 우리의 몫이며, 오늘날에도 처용무를 감상하고 연구하는 일은 과거와 현재를 잇는 소중한 다리가 된다.
'국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이야기 6 : 아리랑 ②편 본조, 정선, 밀양, 진도 아리랑의 특징과 감상 포인트 (6) | 2025.08.25 |
---|---|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이야기 6 : 아리랑 ①편 – 민족의 노래, 세계의 노래가 되다 (1) | 2025.08.25 |
8월 23일 KBS 국악한마당 다시보기 – 굿굿굿! K-굿이로구나 (4) | 2025.08.24 |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6 : 남사당놀이의 역사와 구성 (0) | 2025.08.23 |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이야기 4 : 종묘제례악의 모든 것 (0) | 2025.08.22 |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이야기 3 : 강강술래 정의·역사·특징 (1) | 2025.08.21 |
8월 16일 KBS 국악한마당 다시보기 – 가야금병창의 아름다움, 전통과 창작의 만남 (0) | 2025.08.20 |
8월 9일 KBS 국악한마당 다시보기 — ‘유태평양과 친구들’ 특집 공연 정리 (1) | 2025.08.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