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9월 23일부터 12월 7일까지 유니버설아트센터 공연되는 뮤지컬 〈레드북〉은 19세기 빅토리아 시대 영국을 배경으로, 여성 작가 안나가 보수적인 사회의 편견을 넘어 자신의 목소리를 찾는 과정을 그린 창작 뮤지컬이다.
사랑과 사회적 시선 사이에서 고민하지만, 결국 ‘나는 나를 말하는 사람’임을 선언하며 자아를 확립한다. 작품은 당대의 성 역할과 자유를 재치 있게 풀어내며, 관객에게 울림을 준다.
아래는 극의 전개를 대표하는 9곡을 순서에 따라 정리한 것이다.
목차
- 🎵 1. 신사의 도리 – 빅토리아 사회 풍자 넘버
- 🎵 2. 로렐라이 언덕의 여인들 – 여성 연대와 자유의 노래
- 🎵 3. 사랑은 마치 – 안나와 브라운의 사랑 해석 이중창
- 🎵 4. 나는 야한 여자 – 당당한 선언
- 🎵 5. 낡은 침대를 타고 – 상상과 욕망이 펼쳐지는 무대
- 🎵 6. 뮤즈 – 브라운의 영감을 담은 서정적 넘버
- 🎵 7. 당신도 그래요 – 진솔한 공감과 화해의 듀엣
- 🎵 8. 나는 나를 말하는 사람 – 작품의 핵심 메시지 선언
- 🎵 9. 레드북을 읽고 난 후 – 안나의 목소리가 퍼져나가는 피날레
- 🎬 뮤지컬 〈레드북〉이 전하는 메시지와 감동
🎵 1. 신사의 도리 – 빅토리아 사회 풍자 넘버
- 인물: 브라운(남자 주인공), 신사들
- 장면: 사회의 질서와 남성 중심 규범을 강조하는 신사들의 합창.
- 곡 해설: 중후한 합창과 위트 있는 가사가 어우러져 빅토리아 사회의 보수성을 풍자한다. 안나가 마주할 세상의 장벽을 선명하게 보여주는 장면이다.
https://www.youtube.com/watch?v=VCF9dG6NuxQ
🎵 2. 로렐라이 언덕의 여인들 – 여성 연대와 자유의 노래
- 인물: 안나, 여성 앙상블
- 장면: 여성들이 모여 현실의 불합리와 억압을 이야기하며 연대하는 장면.
- 곡 해설: 전통적 여성상에 순응하기보다 욕망과 자유를 솔직히 드러내는 여성들의 목소리를 힘차게 표현한다. 작품이 가진 페미니즘적 주제를 유쾌하게 드러낸다.
https://www.youtube.com/watch?v=bTl3X5WYN5o
🎵 3. 사랑은 마치 – 안나와 브라운의 사랑 해석 이중창
- 인물: 안나, 브라운
- 장면: 사랑의 의미를 서로 다른 관점에서 이야기하는 이중창.
- 곡 해설: 서정적 멜로디 속에 낭만과 갈등이 교차한다. 안나에게 사랑은 자유와 열정, 브라운에게 사랑은 보호와 책임으로 표현되며 두 사람의 시각 차이가 드러난다.
https://www.youtube.com/watch?v=xDfjtE05KJY
🎵 4. 나는 야한 여자 – 당당한 선언
- 인물: 안나
- 장면: 자신의 작품과 생각이 외설적이라 조롱받는 상황에서, 오히려 당당히 자신을 선언하는 장면.
- 곡 해설: 도발적이면서도 해학적인 솔로 넘버. 억압적인 규범에 맞서 "나는 야한 여자"라 스스로 규정하며, 부끄러움 대신 자존감을 드러낸다. 관객의 웃음과 공감을 동시에 불러일으킨다.
https://www.youtube.com/watch?v=kqyTTBC8mvo
🎵 5. 낡은 침대를 타고 – 상상과 욕망이 펼쳐지는 무대
- 인물: 안나
- 장면: 작가로서 자신의 상상과 욕망을 솔직하게 펼쳐내는 장면.
- 곡 해설: 환상과 현실이 교차하는 몽환적인 분위기의 곡. 낡은 침대가 상상력의 무대가 되어, 억압된 시대를 넘어선 자유의 세계를 노래한다.
https://www.youtube.com/watch?v=Y-36TUOziS0
🎵 6. 뮤즈 – 브라운의 영감을 담은 서정적 넘버
- 인물: 브라운
- 장면: 안나의 작품을 읽고 그녀에게서 영감을 얻는 장면.
- 곡 해설: 안나를 ‘뮤즈’로 바라보는 브라운의 감정을 담은 서정적 넘버. 전통적 성 역할의 전복—남성이 여성을 단순한 이상화 대상으로만 보는 시선을 드러내고, 동시에 브라운의 내면 변화가 시작됨을 알린다.
https://www.youtube.com/watch?v=KjO9fDzPQ8w
🎵 7. 당신도 그래요 – 진솔한 공감과 화해의 듀엣
- 인물: 안나, 브라운
- 장면: 서로의 생각과 감정을 솔직하게 드러내며 공감하는 장면.
- 곡 해설: 부드러운 멜로디 속에 로맨스와 진솔함이 배어 있다. 갈등을 겪던 두 사람이 조금씩 마음을 열고, 동등한 관계로 나아가는 발판이 된다.
https://www.youtube.com/watch?v=s6_cWmux2qE
🎵 8. 나는 나를 말하는 사람 – 작품의 핵심 메시지 선언
- 인물: 안나
- 장면: 안나가 억압과 조롱을 넘어 자신의 정체성과 목소리를 선언하는 클라이맥스 장면.
- 곡 해설: 작품의 핵심 메시지를 담은 메인 넘버. 강렬한 선율 위에 “나는 나를 말하는 사람”이라는 선언이 반복되며, 여성의 자각과 자립을 감동적으로 드러낸다.
https://www.youtube.com/watch?v=mH2bq1CVNoU
🎵 9. 레드북을 읽고 난 후 – 안나의 목소리가 퍼져나가는 피날레
- 인물: 앙상블
- 장면: 사람들의 입을 통해 안나의 작품이 세상에 퍼지고, 파장이 커지는 장면.
- 곡 해설: 합창 형식으로 구성되어, 개인의 목소리가 사회적 울림으로 확산되는 과정을 보여준다. 작품 전체의 여운을 남기는 피날레 역할을 한다.
https://www.youtube.com/watch?v=0SapkY_H0uY
🎬 뮤지컬 〈레드북〉이 전하는 메시지와 감동
〈레드북〉은 단순한 로맨스가 아니라 여성의 목소리와 자아 찾기를 주제로 한 뮤지컬이다. 넘버들은 때로는 해학적이고, 때로는 서정적이며, 때로는 선언적이다. 이를 통해 관객은 안나의 여정을 따라가며, 억압적 사회 속에서도 자신을 드러내는 용기의 가치를 체험한다. 작품은 결국 “나는 나를 말하는 사람”이라는 메시지를 무대 위에서 강렬하게 되새기며, 개인의 이야기가 사회적 울림으로 확장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뮤지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 뮤지컬 〈미세스 다웃파이어〉 넘버 총정리 - 추석 가족 뮤지컬 추천!(~12.07) (0) | 2025.09.08 |
---|---|
2025 뮤지컬 〈마리 퀴리〉 넘버 총정리(~10/19) (0) | 2025.09.04 |
2025 뮤지컬 추천 〈브로드웨이 42번가〉 대표 넘버 총정리 (2) | 2025.08.23 |
2025 뮤지컬 〈데스노트〉 넘버 총정리 (10주년 기념) (0) | 2025.08.20 |
뮤지컬 〈레베카〉 넘버 총정리 (0) | 2025.08.20 |
2025 뮤지컬 〈노트르담 드 파리〉 주요 넘버 총정리 (0) | 2025.08.18 |
뮤지컬 〈렌트〉 넘버 총정리 (0) | 2025.08.14 |
뮤지컬 <오페라의 유령> 넘버 총정리 (4) | 2025.08.13 |